시골쥐와 함께 미국주식 공부
미국 주식 시장을 다루는 블로거 입니다
Translate
환율

6월 30일 전기차 반도체의 울프스피드(Wolfspeed), 美 파산보호 신청.

전력 반도체 선도기업 울프스피드가 46억 달러 부채로 챕터11 파산보호를 신청했습니다. SiC 반도체와 EV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안녕하세요 시골쥐 인사드립니다

6월 30일 울프스프드 회사가 파산보호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정리 해봤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5년 6월 30일, 전력 반도체 분야의 글로벌 선두주자 중 하나인 **울프스피드(Wolfspeed)**가 미국 연방 파산법 제11장(Chapter 11) 적용을 공식적으로 신청했습니다. 이는 미국 반도체 산업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 그리고 정부 정책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울프스피드는 어떤 회사인가?

울프스피드는 1987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설립된 전력 반도체 전문 기업입니다. 과거에는 Cree Inc.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었으며, 2021년 회사명을 울프스피드로 변경하며 SiC(실리콘 카바이드) 기반 반도체 사업에 집중하게 됩니다.

  • 주요 제품:
    • SiC(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 및 파워 디바이스
    • 전기차(EV), 고속 충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용 고전력 반도체
  • 고객사:
    •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지멘스GMLucid Motors 등
    • 글로벌 전기차 OEM 및 전력 시스템 제조사들과 긴밀한 파트너십 유지

📉 파산보호 신청 배경

1. 46억 달러 규모의 부채 부담

울프스피드는 급격한 확장을 위해 인프라와 R&D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으며, 그 결과 **46억 달러(약 6조 2천억 원)**에 달하는 부채가 누적되었습니다.

  • 뉴욕에 건설 중인 세계 최대 규모의 SiC 웨이퍼 공장 프로젝트가 주요 투자처 중 하나였습니다.
  • 하지만 예상보다 느린 수요 회복과 비용 증가가 재정에 타격을 주었습니다.

2. 고객사 및 채권단과 구조조정 합의

이번 파산보호 신청은 단순한 도산이 아니라, 계획된 구조조정 절차의 일환입니다. 울프스피드는 주요 채권단 및 고객사들과 협상해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합의했습니다.

  • 총 46억 달러 부채 중 대부분 감면
  • 2억 7,500만 달러 규모의 신규 자금 조달 확보
  • 고객사인 르네사스의 미국 자회사 등과 공급 계약 유지

이로 인해 울프스피드는 법정관리 상태에서도 기존 영업과 공급 체계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정부 지원과 정책 변수

  • 2023년, 미국 정부는 울프스피드에 대해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에 따라 7억 5,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했습니다.
  •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과 정책 변화 우려 속에서 정부의 보조금 집행이 지연되며, 울프스피드의 재정 건전성은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 전력 반도체 산업 내 울프스피드의 위상



구분울프스피드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온세미
주력 소재SiC 웨이퍼 및 디바이스SiC, GaNSiC, 전통 실리콘
고객사르네사스, GM, Lucid 등테슬라, BYD 등현대차, GM 등
장점SiC 기술력, 수직계열화대량생산 역량가격 경쟁력
리스크부채 구조, 자금난OEM 의존기술 격차

울프스피드는 SiC 전력 반도체 기술의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평가받아 왔으며, 향후 수년간 200mm SiC 웨이퍼 양산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 왔습니다. 하지만 투자 비용이 워낙 크고, 수요가 예상보다 더디게 회복되면서 재무 리스크가 현실화된 것입니다.


⏱ 향후 일정 및 전망

울프스피드는 이번 파산보호 절차를 통해 2025년 3분기 말까지 재무 구조 개선을 완료하고 챕터 11에서 벗어날 계획입니다.
즉, 단순한 청산이 아니라 **회생(Reorganization)**을 위한 조치이며, 사업 지속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전망에는 여전히 여러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 전기차 수요 회복 속도
  • 미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지속 여부
  • 글로벌 금리 및 투자 환경 변화

🧭 마무리: 이 뉴스가 주는 시사점

  1. 미국 반도체 산업도 구조조정의 시대
    정부 지원에도 불구하고 민간 기업들은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 없이는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2.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확대가 ‘기정사실’은 아니다
    SiC는 미래의 핵심 소재이지만, 그 전환 속도는 시장·정책·자본 여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습니다.
  3. 기술 선도보다 자금력과 생산 효율성이 중요해진 시대
    단순한 기술 우위만으로는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이번 사례는 잘 보여줍니다.

참고: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댓글 쓰기